채권

신용위험 분석방법

브리브리9 2023. 2. 22. 21:52

신용위험 분석은 크게 신용평가등급을 활용하는 것과 신용위험모형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나뉩니다.

 

1. 신용평가등급

 신용평가등급은 AAA, AA, A, BBB, BB, B, C, D로 구분되고 등급별로 ±를 추가해서 세분류하고 있습니다.

 AAA등급이 제일 안전하고 BBB-등급까지 투자적격등급, BB+등급 이하는 투자부적격등급(투기등급)으로 분류합니다.

D는 Default등급입니다. 

1) 정의 

 신용평가회사가 신용채권의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물입니다.

우리나라의 신용평가회사는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NICE신용평가의 주요 3개 사가 있습니다.

한국신용평가의 신용평가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신용평가는 기업실체에 대한 Fundamental분석과 이에 기반한 미래 현금흐름 예측으로 원리금 상환 능력을 판단하는 것이다"

 

 주의할 점은 신용등급이 회수율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S&P의 경우 B+등급 이하 회사채의 회수율을 나타내는 Recovery Rating을 별도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용평가회사는 신용평가등급을 산정할 때 발행자의 현금흐름분석을 통한 상환능력을 가장 중요시합니다. 신용평가의 관점에서는 발행자의 현금흐름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신용평가등급은 이들 신용평가회사의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신용채권에 투자하는 경우에는 신용평가등급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신용채권 거래가 신용평가등급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2) 장, 단기 신용평가등급

*AAA: 원리금 지급 능력이 최상급.

*AA: 원리금 지급능력이 매우 우수하지만 AAA의 채권보다는 다소 열위임.

*A: 원리금 지급능력은 우수하지만 상위등급보다 경제여건 및 환경악화에 따른 영향을 받기 쉬움.

*BBB: 원리금 지급능력은 양호.

          상위등급에 비해 경제여건 및 환경악화에 따라 장래 원리금 지급능력이 저하될 가능성 내포.

*BB: 원리금 지급능력이 당장은 문제가 없음.

        장래 안전에 대해서는 단언할 수 없는 투기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음.

*B: 원리금 지급능력이 결핍되어 투기적이며 불황 시에 이자지급이 확실치 않음.

*CCC: 원리금 지급에 관해 현재에도 불안요소가 있으며 채무불이행의 위험이 커 매우 투기적임.

*CC: 상위 등급에 비해 불안요소가 더욱 큼.

*C: 채무불이행의 위험성이 높고 원리금 상환 능력이 없음.

*D: 채무불능 상태임.

 

3) 등급전망

 신용평가회사는 해당채권의 신용등급 바로 뒤에 장기적인 등급조정 전망을 표시하고 있는데 이것을 Outlook이라고 합니다. S&P의 경우는 6개월에서 2년의 기간 동안의 전망이고, 한국신용평가의 경우 6개월에서 1년 6개월의 전망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등급전망별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안정적: 등급 유지 전망

* 긍정적: 등급 상향조정 전망

* 부정적: 등급 하향조정 전망

 

4)  등급감시

 신용평가회사는 단기에 신용등급을 조정할 가능성이 있는 채권을 Watch List로 관리합니다.

* 상향검토(Upgrade Watch): 등급 상향조정 가능

* 하향검토(Downgrade Watch): 등급 하향조정 가능

* 미확정검토(Evolving Watch): 상, 하향 모두 가능

 

 

 

 

2. 신용위험모형

 신용위험모형은 크게 구조모형과 축약모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구조모형

 (자본) 구조모형은 자본구조를 활용하여 신용위험을 측정하는 것으로써 옵션 모형이라고도 합니다.

 

 구조모형은 채권자를 콜옵션매도자, 주주를 콜옵션매수자, 콜옵션대상을 회사의 자산, 콜옵션의 행사가액을 부채로 규정하고, 회사의 자산가치가 행사가액인 부채보다 클 경우 주주가 회사에 대한 콜옵션을 행사해서 채무를 상환하고 잔여자산을 가진다고 설명합니다. 이 경우에는 부도나지 않습니다. 

 참고로, 주식콜옵션에서 주가가 행사가격보다 크면 콜옵션의 본질가치는 0보다 큽니다. 이 경우에는 콜옵션이 행사됩니다.

 주식회사는 유한회사이므로 주주는 보유지분을 포기하면 추가적인 츼무를 부담하지 않습니다. 회사의 자산가치가 부채보다 적을 경우에는 주주가 주주권을 포기하고 자산은 모두 채권자에게 귀속됩니다. 구조모형은 주식회사 제도를 이용하여 신용위험을 측정하는 모형입니다.

 구조모형에서의 신용위험은 부채비율과 발행회사의 자산가치 변동성이 주요 변수입니다. 

 구조모형의 핵심포인트는 해당기업의 자산가치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입니다. 추정된 자산의 가치가 부채총액보다 크다면 부도위험이 낮고, 반대의 경우에는 부도위험이 크다고 판단합니다. 여기서 추정된 자산의 가치는 공시되니 재무상태표 상의 장부가치가 아닌 실체 현금화 가능한 가치입니다.

 

2) 축약모형

 축약모형에서는 부도확률과 부도 시의 회수율을 독립변수라고 봅니다. 부도의 원인은 무시하고 부도사실 자체로만 채권가치를 분석합니다. 또한 동일회사의 장, 단기 채권의 부도는 상관성이 없다는 가정을 하고 있습니다.

 축약모형의 주요변수는 부도시점, 부도 시의 회수 과정, 무위험 이자율입니다. 

부도발생은 그 사실 자체로만 받아들입니다. 부도 시의 회수 과정이 일사불란하게 이루어지면 채권 가치는 높게 평가됩니다. 그러나 부도에 따른 회수과정이 간단하게 측정될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실무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축약모형은 신용평가등급 변동, 채권 관련 파생상품 매매 시 활용되고 있습니다.